목록분류 전체보기 (91)
Ssul's Blog

테니스 레슨 초기. 거의 매일 레슨 장면을 핸드폰으로 촬영했다. 뒤에서도 찍고, 옆에서도 찍고, 앞옆에서도 찍고... 그렇게 핸드폰속에 저장된 나의 부족한 모습을 보면서, 내일은 저렇게 하지 말하야지...다짐하고 그렇게 반복했다 ㅋㅋㅋ 그렇게 촬영을 자주하면서 자연스럽게 테니스 관련 어플을 검색하게 되었다. 그랬더니, 역시나 나와 있었다. 인공지능 테니스 분석 어플 Swing Vision 이제... 맥용까지 다 나왔다... 우선 기능은 간단하다. 내 경기영상(복식/단식) 또는 랠리 또는 서브/볼머신 연습 영상을 촬영하고, 해당 어플에 업로드하면, 자동으로 편집하고, 샷을 분석해준다. 나는 랠리랑, 복식게임을 업로드해서 사용해봤다. 결과는 대만족 우선 깔끔하게 컷 편집 해준다. 그리고, 있어보이게(?) 나..

👉Apple Developer 계정생성(법인계정) (*개인 개발자 계정이 아닌, 회사계정을 받으면 복잡, 영세한 스타트업이기에...직접 진행 ㅜ 개인 개발자는 이과정은 스킵하셔도 됩니다) 1. 홈텍스가서 영문 사업자 등록증 발급받기 - 홈텍스 > 민원증명 > 사업자등록증명 > 영문증명 > 신청하기 2. DUNS(국제사업자번호)넘버 발급받기 - https://developer.apple.com/enroll/duns-lookup/#!/search 로 이동 - 영어로 회사정보 입력 후, 계속 클릭 > DUNS번호 요청 클릭 - 작성시 입력한 회사메일로 승인메일 옵니다. 3. EIN(Employer Identification)발급받기(W8-BEN) - 앱스토어에서 매출이 발생하면 30%는 애플이, 70%는 개발..

배경: React(프론트)-Django(백앤드)로 구성된 웹앱 서비스를 리액트 네이티브로 ios/android앱 구현하기 들어가기. 구글로그인 프로세스 1. 구글 버튼을 눌러 구글서버로 소셜로그인/회원가입 요청(https://accounts.google.com/o/oauth2/v2/auth) 2. 구글 로그인창 > 로그인 > 성공하면, 구글 토큰리다이렉트 주소 호출(https://oauth2.googleapis.com/token) 3. 그 토큰으로 구글 정보 요청(https://www.googleapis.com/oauth2/v1/userinfo) 해서 받고, 4. 쿠키나 token 백엔드에서 커스터마이징 셋팅 후, 프론트로 전달 0. 구성별(React, RN) 소셜로그인 프로세스 0-1. (웹앱) Rea..
인증의 3가지 종류 쿠키: 클라이언트(브라우저)에 쿠키값이 저장 세션: 세션값이 서버에 저장되는 것 토큰: 서버 호출시 토큰 전달, 서버에 저장된 토큰정보로 인증 확인 쿠키인증 프로세스 클라이언트가 request(id & pw) → 서버가 로그인 체크하고 성공이면 → 서버에서 쿠키값 생성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쿠키값 보냄(response.headers에 set-cookie 값을 보냄(Set-Cookie: =)) 클라이언트는 response.headers에 있는 쿠키를 브라우저에 쿠키값 저장(= 앞으로 서버 소통시 브라우저가 쿠키값을 가지고 있어서 소통가능해짐 세션인증 프로세스 클라이언트가 request(id & pw) → 서버가 로그인 체크하고 성공이면 → 인증정보 생성하여 세션 저장소에 저장 유저에 s..

한달 단위로 정기결제되는 구독서비스를 개발중이다.가장 두려운 부분중 하나인 결제파트. 그 개발이 1차 마무리 되어서, 이렇게 기록으로 남겨놓는다.PG사 신청, 등록부터, 설정까지 쉬운 과정이 없었던것 같다ㅜㅜ PG사 개념 잡기우선 온라인 결제가 보안이 중요한 사항인만큼 PG사를 이용할수 밖에 없다.그래서 온라인 결제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회사가 PG사에서 회사 고유의 MID를 발급받아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다른 블로그에서 정리되어 있기에, 내가 서비스를 만들며 직면했던 PG관련 이슈 사항만 코멘트 남겨 놓는다. 우리는 KG이니시스를 사용하였다. 기억#1. 서비스를 직접 개발한다면 그 전용 MID를 발급받아야 함회사내 결제되는 온라인 홈페이지(imweb)가 있었고, 그 과정에서 PG사에서 발급받은 MID가..
매번 사용할때마다 구글찾아 검색하는 쿼리셋 명령어. 오늘은 자주 찾았던 명령어들 몇개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0. 우선 모델 정리 습관을 인증하는 서비스로, User, Habit, HabitLog 3개의 모델이 있다 User는 사용자 정보가 있으며, Habit은 습관을 생성한 유저정보를 외래키로 참조하고, 습관명, 해당월 등으로 구성 HabitLog는 인증한 습관을 외래키로 참조하고, 날짜와 사진으로 구성된다 목표는 월별, 전체기간별 습관인증 횟수를 카운트하는 api를 생성하는 것이다. #models.py #사용자 class User(BaseUser, SoftDeleteModelMixin): name = models.CharField(_("name"), max_length=150) image = model..

#1. 하늘쌤 채널명: RTPTennis[하늘쌤테니스꿀팁] 구독자: 7.37만명(20230109) 추천이유: - 처음 테니스 칠때도 좋고, 몇개월/몇년후에 다시 봤을때 이해가 되며 좋은 내용들이 많음 - 필자도 테니스를 시작할때 처음 접했던 테니스 채널. 그때는 이해 안되던 내용이 이제는 되는 경우가 많음 - 왜 이렇게 쳐야 하는지, 코치가 왜 이렇게 가르쳐주시는지를 알려주고, 이해시켜주는 좋은 채널 - 테니스에 열정이 있다면 꼭 구독해야 하는 채널 기타: - 정현선수 코치도 했었다고 함 - 요즘 업로드 주기가 길어짐 #2. 테니스 한쌤 채널명: ModernTennis[테니스한쌤] 구독자: 4.55만명(20230109) 추천이유: - 시원시원한 테니스 스윙 보여주심 - 힘주는 시점, 테이크백 후 라운드,..

0. 나의 레슨경험 처음 테니스에 입문한 것은 2014년 7월. 3년 넘게 배운 수영이 맨날 레인만 도는 것이 너무 빡세서... 새로운 운동을 해보려 찾다가 시작하게 된 테니스. 집에 있는 아빠의 20년된 라켓을 들고 동네 아파트 테니스장 찾아갔다. 나름 출근전 새벽에 열심히 배웠다. 하지만, 야외 테니스장이었기에 비가오면 취소, 비가오고나서 땅이 지려도 취소...이렇게 불규칙적으로 쉬는 날이 많아지면서... 자연스럽게 두달만에 그만두게 된다. 그렇게 3년정도 시간이 지나고, 2018년 다시 라켓을 잡았다. 그렇게 한 1년쯤 자치구에서 운영하는 구립 체육관에서 배우다, 구립 체육관이 이전하는 바람에 다시 휴식. 그리고 2020년 새롭게 개관한 구립체육관에서 다시 레슨. 하지만 또 코로나 발생으로 공공체육..
__init__ : 클래스 생성시 처음 호출함 class Person: def __init__(self): print(self, 'is generated') p1 = Person() #이때 __init__함수 호출 class Person: def __init__(self, name, age): print(self, 'is generated') self.name = name self.age = age p1 = Person('cis', 30) #이때 __init__함수 호출 self : 파이썬의 모든 메소드의 첫 파라미터, 클래스로 생성된 객체 a = Person('ccc', 20) b = Person('bbb', 30) print(a) print(b) #메모리상의 주소 출력. 그 주소가 self라고 보면 ..